건강보험료 줄이는 법에 대한 7가지 팁을 알아보겠습니다. 건강보험료는 일정 금액이 아닌, 소득 비례 % 비율로 인상되어 해마다 부담이 더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모두 해당되지 않을 수는 있지만, 가능한 분들은 조금이나마 부담을 줄이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해보려 합니다. 건강보험료 줄이는 방법 7 1. 재산의 비중 조절 기초 연금은 예금이나 적금, 보험, 주식 등 금융 자산도 재산 산정 시 포함이 되지만 건강보험료의 경우에는 금융 자산이 포함되지 않고, 부과대상이 아닙니다. 개인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예금이나 적금 등으로 금융자산을 늘리는 것이 안전하기도 하지만 건보료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되기도 합니다. 지역가입자의 경우 금융재산이 건보료 산정에 포함이 되지 않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러나 금융자산으로 인한 배당금이나 이자에 대해서는 건보료 부과대상이 됩니다. 또, 연금을 받는 만 65세가 되면 수급 자격 선정 시 금융자산이 포함되고 부동산보다 크게 차지하기 때문에 비율에 대해서는 정확히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기초연금을 받으시는 분들은 복지로(www.bokjiro.go.kr) 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2. 개인연금 비중 조절 공적연금에 해당하는 국민연금, 군인연금, 공무원연금 등은 건강보험료 부과 대상이나 개인연금은 포함하지 않습니다. 노후 대비차원으로 개인연금을 높이면 건강보험료는 줄일 수 있습니다. 3. 건강보험료 조정 신청 이 방법은 재산 및 소득의 변동으로 감소했을 때 신청 가능한 방법이며, 해당하는 경우에는 7월에 조정 신청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지역가입자는 전년도 소득에 대해 5월 종합소득세를 신고, 7월 말까지 전년 소득에 대해 보험료가 산정됩니다. 소득 발생~건강보험료 부과까지 7~11개월의 차이가 날 수 있어, 전년도 재산 및 소득 등 변동이 생겼을 때에 7월에 미리 건보료 조정신청을 하면 6월분 건강보험료까지 인하되고, 8월 이후 신청하면 신청일이 속한 달부터 건강보험료 조정 신청...